2022년도 하계 한국자기학회 (2022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Graduate students, Mr. J. K. Lee, Mr. H. S. Ko, Mr. H. E. Fu, Ms. J. Lee, and Ms. E. Jeong attended the 2022 Korean Magnetics Society summer conference held in Jeju, Korea on May 25~27, 2022. Prof. Kim, the president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gave a lecture on how to write practical English science papers at the tutorial session.

 대학원생 이정규, 고한석, 부홍은, 이지영, 정은진이 2022년 5월 25일부터 27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한국자기학회 하계학술대회에 참석했다. 한국자기학회장인 김영근 교수는 tutorial session에서 실전 영어과학논문 작성법을 강연했다. 

발표내용

  • 이정규: Spin-orbit torque of W-V alloy based magnetic heterostructures
  • 고한석: Symmetry breaking by gradient Pt thickness in Pt/Co multilayer structures
  • 부홍은: Multifunctional magneto-optical nanoclusters for high sensitivity rotavirus detection
  • 이지영: The optical measurement of magnetic phenomena with magneto-optical Kerr effect
  • 정은진: 3-dimensional magnetostatic interactions in controllable magnetic Fe/Au barcode nanowire arrays


김영근 교수, 2022년도 고려대 석탑연구상 수상 (Prof. Kim received the Korea University Granite Tower Research Award)

석탑연구상은 전년도 연구업적 중 상위 3%를 차지한 교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매년 고려대학교 개교기념일(5월 5일) 행사에서 관련 시상식을 진행한다.

특히, 김 교수는 지난 2005년 석탑강의상, 2016년 석탑기술상 그리고 2021년 석탑연구상을 수상했으며, 이번 석탑연구상 수상으로 2년 연속 수상한 쾌거를 이루었다.

https://eng.korea.ac.kr/eng/community/review.do?mode=view&articleNo=294806&article.offset=0&articleLimit=10&totalNoticeYn=N&totalBoardNo= 

Korea University The Granite Tower Research Award is given to professors who took the top 3%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previous year. In addition, a related awards ceremony is held every year on May 5, Korea University Anniversary Day.

In particular, professor Kim won the lecture award in 2005, the techonology award in 2016 and the research award in 2021, and finally won the research award for the second consecutive year.

김영근 교수, KU 명예의 전당 등재 (Korea University Hall of Honor selected new members including Prof. Kim)

▲ 2022 한국공학한림원 신규 정회원 본교 공대 교수 3인 'KU 명예의 전당' 등재 안내

고려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김용찬) 소속 교수인 김영근 신소재공학부 교수 외 2명이 최근 'KU 명예의 전당'에 등재됐다.

'KU 명예의 전당'은 권위 있는 학술기관의 회원으로 선출되거나 저명한 학술상을 수상해 본교를 빛낸 인물을 고려대 공식 홈페이지에 소개하는 콘텐츠다. 등재 대상은 본교 재직 중이거나 퇴직한 교원, 직원, 재학생, 졸업생 및 명예학위 수여자로, 학술기관 및 학술상은 KU 명예의 전당 운영위원회에서 심의를 통해 선정한다.

이번에 'KU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린 김영근 교수 외 2명은 2022년 한국공학한림원 신임 정회원에 선출된 공적을 인정받은 결과다. 무엇보다 남다른 연구력으로 글로벌을 넘나들며 출중한 성과를 만들어 내는 본교 공과대학은 매년 꾸준히 'KU 명예의 전당' 신규 등재자를 배출하고 있다.

 

Prof. Kim was named to Korea University Hall of Honor. 'KU Hall of Honor' introduces people who have benn elected as members of prestigious academic institutions or won academic awards. Recently,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NAEK) selected 45 new members, including Prof. Kim.

 

출처: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NEWS, 2022.04.11.

 

공대뉴스 게시판읽기 ( [ KUCE People ] 공과대학 김영근 - 김용찬 - 안동준 교수 , KU 명예의 전당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eng.korea.ac.kr

KU 명예의 전당  https://www.korea.ac.kr/mbshome/mbs/university/subview.do?id=university_040700000000 

고려대 김영근 교수팀, 나노기공내 금속이온의 전기화학 반응 경로 규명

고려대학교(총장 정진택) 신소재공학부 김영근 교수 연구팀은 100~200nm 크기의 나노 기공 내에 존재하는 금속 이온들이 외부 전기장 세기에 따라 다른 반응 경로 가지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진은 산성 분위기에 있는 금속 이온들에게 환원극으로의 전기장이 인가(유도) 될지라도 전극 표면에서 바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부도체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전류 흐름에 맞춰서 환원이 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환원 반응을 잘 제어할 수만 있다면, 가장 단순한 실린더형 나노와이어에서 가운데 부분이 뚫려있는 나노튜브형태, 심지어는 스프링과 같은 나노코일 형태 등 나노소재의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의 합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론, 실험적으로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성과는 나노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나노투데이’ (Nano Today, IF : 20.722)에 11월 26일 온라인 게재됐다.

출처: 에너지경제, 2021.11.29, 고려대 김영근 교수팀, 나노기공내 금속이온의 전기화학 반응 경로 규명 (ekn.kr)

Engineering the shape of one-dimensional metallic nanostructures via nanopore electrochemistry
Nano Today 42, 101348 (2022) [doi:10.1016/j.nantod.2021.101348]

The architecture of nanostructures is pivotal to determine material properties at the nanoscale,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harnessing sophisticated nanochemistry to elicit desirable material morphology with uniformity. The simplicity of template-assisted electrodeposition makes it a promising strategy for the fabrication of anisotropic nanomaterials. However, a challenge it faces is the complexity of the materials. This study presents a facile strategy and fabrication mechanism to synthesize nanotubes or nanocoils by selecting additives such as vanadyl ions and L-ascorbic acid. Vanadyl ions stick to the protonated anodized aluminum oxide surface, paving the way for electronic conduction. When a higher electrical field is applied, linear sweep voltammetry implies surface conduction mode is dominant in the spatially confined template. As L-ascorbic acid i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the nanostructure can be regulated from nanotubes to nanocoils. The nanocoils consist of numerous nanocrystalline primary particle considered as building blocks, and their relationship affects the final structures. The reaction product, vanadyl ascorbate, acts as a hurdle by partially hindering surface conduction and a helical modifier, inducing the formation of primary particle and their nanocoil assembly. Finally, a state diagram is provided to illustrate the diverse nanostructures at optimized applied current and additive ratio conditions.

김영근 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선정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selected new members including Prof. Kim)

2022년 한국공학한림원은 김영근 교수 외 산학연 45명을 신규 정회원으로 선정하였다. 김 교수는 2015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도 선정된 바 있다. 참고로, 재료공학 분야에서 양 한림원에서 모두 정회원인 자는 10명 이내다.

https://kim.or.kr/Board/board.asp?b_code=5922&Action=content&GotoPage=1&B_CATE=BBS12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NAEK) selects 45 new Members, including Prof. Kim, as of 2022. In 2015, he was selected as a Fellow of The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KAST).

김영근 교수, 저서 ‘신소재 이야기’ 출간 (Prof. Kim authored a book titled 'A Story on Advanced Materials')

김영근 교수는 한양대 안진호 교수와 공저로 신소재 이야기라는 과학기술 대중 도서를 저술하였다. ‘신소재 이야기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발간하는 2021 '석학, 과학기술을 말하다' 시리즈의 다섯 권중 하나로, 본 시리즈는 과학기술 석학들의 저술 활동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의 우수 저서를 출판 보급하고 대국민 과학기술 대중화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https://kim.or.kr/Board/board.asp?b_code=5913&Action=content&GotoPage=1&B_CATE=BBS12

Prof. Kim authored a book titled ‘A Story on Advanced Materials’ with Prof. Jinho Ahn at Hanyang University. The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KAST) sponsored the publication of five books, including this one. This book series aims to disseminate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general public. 

2021년도 추계 대한금속재료학회 (2021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Graduate students, S. W. Byun, J. H. Moon, T. S. Kim, H. E. Fu and E. J. Jeung attended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held in Jeju, Korea on October 20 ~ 22, 2021

대학원생 변상원, 문준환, 김태순, 부홍은, 정은진이 2021년 10월 20~22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에 참석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변상원, 문준환은 학생구두발표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발표 내용

  • 변상원: 자연을 모사하여 합성한 계층구조체의 합성 메커니즘 분석 및 응용
  • 문준환: 계면 반응 조절을 이용한 무기질 중공 나노코일 제작 및 응용
  • 김태순: 전기화학 공정기반 도금법을 이용한 루테늄-코발트 합금 나노선의 특성 분석
  • 부홍은: 자성-광학 복합기능 나노클러스터를 이용한 고감도 바이러스 항원 감지
  • 정은진: Fe-Au 바코드 나노선 어레이에서의 복합적인 정자기 상호작용